1. 단순조건문: 조건식이 true일 경우에만 동작
if(조건식){
// true일 때 실행
}
<script>
let money = 20000;
if(money > 15000){
console.log('돈을 저축');
}
</script>
2. if-else문
if(조건식){
// true일 때 실행
}else{
// false 일 때 실행
}
<script>
let input = parseInt(prompt('숫자를 입력하세요'))
if(input%2 ===0 && input%6 ===0) {
console.log('2와 6의 배수입니다.');
}else{
console.log('2와 6의 배수가 아닙니다.');
}
</script>
3. 다중 if문
if(조건식1){
// 조건식1이 true일 때 실행
}else if(조건식2){
// 조건식1이 false이고 조건식2가 true일 때 실행
}else{
// 조건식 1, 2가 false일 때 실행
}
<script>
// 두 숫자를 입력받은 후, 크기 비교 결과에 따라 메세지를 출력
let num1 = parseInt(prompt('첫 번째 수를 입력하세요'));
let num2 = parseInt(prompt('두 번째 수를 입력하세요'));
console.log(num1, num2);
if(num1 > num2){
console.log('첫 번째 입력한 값이 더 큰 수 입니다.');
}else if (num1 < num2){
console.log('두 번째 입력한 값이 더 큰 수 입니다.');
}else{
console.log('두 수는 같은 수 입니다.');
}
</script>
4. switch문: 여러 개의 다중 조건 처리를 해야 하는 경우 if 문 대신 switch문을 사용(가독성이 높음)
식을 먼저 계산하고 일치하는 case문으로 분기
실행 후 beak를 통해 switch문을 벗어남(break가 없을 경우 아래 case문의 문장을 계속 실행)
switch(조건식) {
case 값1:
실행구문
break;
case 값2:
실행구문
break;
default
모든 조건이 일치하지 않았을 때 실행;
break;
}
<script>
let num = 8;
switch(num%2){
case 0:
console.log('짝수입니다.');
break;
case 1:
console.log('홀수입니다.');
break;
default:
console.log('숫자를 다시 입력해주세요.');
break;
}
</script>
<학점 계산기 만들기>
<script>
// 국어, 영어, 수학 점수를 입력받은 후, 총점과 평균을 출력
// 학점 범위
// 100~96점: A+학점 | 95~91점: A학점 | 90~86점: B+학점 | 85~81: B학점 | 이외 F학점
let kor = parseInt(prompt('국어 점수를 입력해주세요'));
let eng = parseInt(prompt('영어 점수를 입력해주세요'));
let math = parseInt(prompt('수학 점수를 입력해주세요'));
let total = (kor + eng + math);
let avg = total / 3 ;
if(avg >= 95) {
grade = 'A+';
}else if(avg >= 90){
grade = 'A';
}else if(avg >= 85){
grade = 'B+';
}else if(avg >= 80){
grade = 'B';
}else{
grade = 'F';
}
console.log(`평균 ${avg}이고 ${grade}학점입니다.`);
</script>
'Stud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반복문 (for문) (1) | 2024.01.22 |
---|---|
[JavaScript] 반복문 (While문) (0) | 2024.01.19 |
[JavaScript] 논리연산자/삼항연산자 (0) | 2024.01.17 |
[JavaScript] 증감연산자 (0) | 2024.01.16 |
[JavaScript] 연산자 (0) | 2024.01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