논리연산자
1. NOT 연산자: 논리값 또는 논리식 앞에 '!'를 표기 -> 기존 논리값을 뒤집는 역할
!true -> false / !false -> true
2. AND 연산자: 두 논리값 또는 식이 모두 true인 경우에 최종값을 true로 반환하는 연산자
3. OR 연산자: 두 논리값 또는 식이 하나만 true인 경우에 최종값을 true로 반환하는 연산자
4. 조건(삼항) 연산자: 조건식? 실행문장1 : 실행문장2
- true일 경우: 실행문장1
- false일 경우: 실행문장2
<script>
삼항연산자 예제/숫자를 입력받은 후 홀수인지 짝수인지 판별
let input = parseInt(prompt('숫자를 입력해주세요!'))
console.log(input % 2 === 0 ? input + '는 짝수입니다.' : input + '는 홀수입니다.');
템플릿 문자열: 문자열 안에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문법
- 백틱(``)
- 백틱 안에 변수를 사용해야 할 경우 '${변수}' 표기
console.log(input % 2 === 0 ? `${input}는 짝수입니다.` : `${input}는 홀수입니다.`);
</script>
<script>
let box = parseInt(prompt('한 박스에 담을 오렌지수를 입력해주세요'))
let orange = parseInt(prompt('현재 오렌지의 개수를 입력해주세요'))
console.log('한 박스에 담을 오렌지 수: ' + box);
console.log('현재 오렌지 개수:' + orange);
let result = orange % box === 0? orange / box : parseInt(orange/box) + 1;
console.log(`필요한 박스의 수: ${result}`);
</script>
'Stud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반복문 (While문) (0) | 2024.01.19 |
---|---|
[JavaScript] 조건문, 학점 계산기 만들기 (0) | 2024.01.18 |
[JavaScript] 증감연산자 (0) | 2024.01.16 |
[JavaScript] 연산자 (0) | 2024.01.15 |
[JavaScript] 자료형 (0) | 2024.01.12 |